공인인증서 폐지, 바뀌는 점은 무엇인가?
1. 기존의 공인 인증서 제도란
기존의 공인인증서 제도는
1999년 전자서명법 발효 이후 시행되었습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공인인증서는
범용 공인인증서, 금융 공인인증서 두 가지로 나뉘며
범용 공인인증서의 경우
1년에 별도의 비용을 내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첫 공인인증서 발급 시
공인인증기관에 방문하여 발급할 수 있었으며,
1년의 유효기간이 있어서
유효기간이 끝나기 전에 갱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공인 인증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액티브X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공인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인터넷뱅킹이나 홈택스와 같은
공공기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려면
어쩔 수 없이 액티브X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했죠
각 웹사이트마다 제공하는 액티브X 프로그램이 달라서
몇 군데의 인터넷 뱅킹과, 공공기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수십 가지의 액티브 X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PC가 굉장히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했죠.
2. 공인인증서 폐지 후 달라지는 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앞으로 도입될 전자서명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을거라고 소개했습니다.
1) Active X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전자인증이 가능
2) 비대면으로도 가입자의 신분인증 가능
3) 새로운 전자인증제도에서는 생체인증 또는 간편비밀번호 이용으로 편의성 개선
공인인증서를 대신할 PASS
이번에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되면서
이동통신 3사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본인인증 어플
'PAS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PASS는 올해 1월 인증 발급 건수가 1,000만을 돌파하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었는데요
이번 공인인증서 폐지를 계기로
더 급격하게 발급 건수가 늘어나며
11월 기준 발급 건수 2,000만을 기록했습니다.
PASS의 장점으로는
지문, 홍채와 같은 생체인증으로 편리한 전자인증이 가능하며,
6자리 핀 번호를 이용하여 빠르게 쉽게 인증이 가능한 것입니다.
발급 절차가 비교적 복잡한 기존의 공인인증서 제도와 달리
PASS는 몇 가지 인증 절차만 거치면
바로 발급이 가능하다는 것 또한 굉장히 큰 장점입니다.
내년 1월 부터는 PASS로 인증이 가능한 사업체가 늘어나며
홈택스 연말정산, 정부 24 등 정부 관련 사이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PASS는 발급 후 3년간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폐지 후 기존 사용하던 공인인증서는?
기존 사용하던 공인인증서는
유효기간이 만료될 때까지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존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며 불편함이 없으셨던 분들은
유효기간이 끝날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4. 공인인증서 폐지로 인한 문제는?
다양한 핀테크, 인증기관 관련 회사에서
이번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를 계기로 더 편리하고 간단하며
보안성이 높은 전자인증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필요한 절차이므로 보안성이 아주 중요한 요소인데,
보안 이슈가 일어나지 않기를 소망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GBTC) 락업해제 구조와 견해 (3) | 2021.07.19 |
---|---|
비트코인 세금 계산 방법 완벽 정리 (1) | 2020.12.07 |
미니스탁 하는방법 테슬라 주식 천원에 사는 법 (0) | 2020.11.18 |
포비돈 관련주 코로나 예방에 효과 발표 (2) | 2020.10.07 |
주택청약 1순위 조건 과 청약방법 이것만 보면 쉽다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