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트럼프 램데시비르 투약! 국내 관련주는 무엇?

코로나 확진 트럼프 렘데시비르 투약, 국내 관련주는 무엇?



램데시비르 이슈 이유는?

백악관 측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와 현재 개발 중인 항체약물을 투약받는 다고 밝혔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숀 콘리 대통령 주치의는 지난 2일 성명에서 메릴랜드주의 월터 리드 군병원에 입원한트럼프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렘데시비르를 투약받는다고 전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에서 승인한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임상시험은 

총 24건(치료제 22건, 백신 2건)이라고 22일 밝혔습니다.

이 중 렘데시비르 등 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 5건이 종료되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시험은 총 19건(치료제 17건, 백신 2건)입니다.



제약업체가 진행하고 있는 약 임상시험은 14건입니다. 

○1상 임상 5건(항체치료제, DNA백신 등) ○ 2상 임상 8건(혈장분획치료제 등) ○ 3상 임상 1건입니다. 

연구자가 진행하고 있는 임상은 5건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셀트리온의 중화항체 치료제(CT-P59)는 

‘경증부터 중증까지의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2/3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이번 임상은 식약처로부터 2상과 3상 임상시험 계획을 동시에 승인받아 진행중입니다. 

300명을 대상으로 적절한 투여 용량과 치료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2상이 종료되면  720명 대상 확증 3상을 연속해서 진행합니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는 부광약품(레보비르), 엔지켐(EC-18), 신풍제약(피라맥스), 대웅제약(DWJ1248) 등도 환자를 모집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렘데시비르는 길리어드사이언스가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던 항바이러스제로 코로나19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았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특례수입 결정 후, 질병관리본부는 수입자인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와 지난달 29일 국내 도입 협의를 통해 의약품 무상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렘데시비르를 투약받을 수 있는 환자는 폐렴이 있으면서 산소치료가 필요한 중증환자로 제한됩니다.

투약대상자는 PCR 검사 등을 통해 코로나19로 확진된 환자로, 폐렴이 있으면서 산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 입니다.



램데시비르가 무엇길래 이슈가 될까?

렘데시비르는 기존에 에볼라 바이러스의 치료제로 제작이 된 약품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후 5월에 임상실험 사용승인을 받았으며 7월 1일 국내 공급이 결정되었습니다.

렘데시비르를 코로나 환자에게 사용해본 결과는 매우 양호 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사망률이 줄었으며 15일 정도였던 회복 기간이 11일로 줄어든 효과를 보였습니다.

심지어 코로나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해주는 역할까지 해주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렘데시비르는 호흡기 환자를 위주로 먼저 약을 처방하겠다고 밝혀졌습니다.



램데시비르관련 국내 주식은 무엇일까?


1. 파미셀


파미셀은 렘데시비르 주원료인 `뉴클레오시드`를 생산하고 있다. 

파미셀은 글로벌 진단용 및 의약용 뉴클레오시드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뉴클레오시드는 핵산을 구성하는 단위로서 유전자 진단시약(각종 바이러스 진단키트) 및 

유전자체료제 신약의 주원료로 쓰인다.



2. 진원생명과학

진원생명과학은 관계사 이노비오를 통해 코로나 19 DNA 백신을 개발 중입니다.


3. 에스티팜

에스티팜은 렘데시비르 독점권을 가진 길리어드에 원료공급에 대한 기대감으로 렘데시비르 관련주 테마에서 큰 주목을 받은 이력이 있고, 에스티팜은 CMO 방식으로 제조하여 신약 원료의약품 및 제네릭 의약품의 원료를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4. 신풍제약

신풍제약은 에볼라 치료제인 램데시비르와 유사한 구조의 코로나 19 치료제 후보군을 보유하고있습니다.




5. 에이프로젠제약


에이프로젠제약은 메르스 치료에 효과가 있는 라록시펜염산염 성분의 에비라정에 대해 제조 허가를 가지고 있다는 점 때문에 코로나 치료제로 주목 받고 있으며 렘데시비르와 연관이 없음에도 렘데시비르 관련주 테마군에 따라 상승세를 보이기도 하는 종목입니다.



6. 한올바이오파마

한올바이오파마에 대해 미국서 항체 신약의 임상 2상이 성공함에 따라 내년 상반기 임상 3상 개시와 함께 국내 최초 글로벌 항체 신약 상업화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